조명을 켜놓고 취침할 시 심장질환을 앓거나 당뇨,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14일(현지 시각)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과 하버드 의대 등의 연구팀이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조명이 있는 가운데 잠을 자면 뇌가 이를 감지해 포도당 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 브리검여성병원, 하버드대 의대 공동연구팀은 실내에 '중간 밝기 빛'과 '희미한 빛' 두 가지 조명을 조성해 20명의 성인 남녀들을 하룻밤 재워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실험했다.
'중간 밝기 빛'은 전자의 광량은 100럭스(lux)로 일반적인 형광등 밝기이며 '희미한 빛'의 경우 3럭스로 달빛보다 약간 밝은 밝기다.
이번 연구에서 중간 밝기 빛에서 잔 사람은 희미한 빛에서 잔 사람보다 심장 박동수와 혈당치 및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은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저항성이 증가할 경우 혈액 내 포도당이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해 체내에 축적돼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희미한 빛에서 잔 그룹은 중간 밝기 빛에서 잔 사람보다 인슐린 저항성이 최대 4%까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진행한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의 아이비 메이슨 씨는 "하룻밤이라도 수면 시 전등을 켜고 자면 심장병이나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연구 과정에서 수면의 질은 차이가 없었지만 렘 수면의 비율이 중간 정도의 빛 속에서 잔 사람일수록 적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밤에는 심장 활동도 낮보다는 줄어들어야 하는데 조명이 있으면 자고 있어도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돼 심장 박동수가 높게 유지됐던 것이다.
연구팀은 "조명이 있는 상태에서 잠을 자면 심장박동이 증가한다는 것은 빛 노출이 교감신경 흥분 반응을 유발해 심장 활동을 자극한다는 의미"라며 "수면 중 실내 야간 조명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것이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2017년 국내 한 연구에서도 수면 중 빛에 노출되면 뇌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특히 하부전두엽 기능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로 인해 작업기억능력이 저하되는 등 치명적인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고됐다.
이외에도 심혈관 건강과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자연적 과정인 일주기 리듬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2L 물 마시기, 건강에 특별한 도움 안 된다" (0) | 2022.11.14 |
---|---|
위 더부룩하고 아플 때 '단 30초' 만에 낫게 해주는 응급 마사지 방법 (0) | 2022.11.14 |
매달 '감기' 걸리며 골골대던 박재범 싹 낫게 해준 '건강 음료' 레시피 (0) | 2022.11.11 |
오은영 박사가 알려준 불면증 겪을 때 잠잔 것 같은 효과 내는 초간단 꿀팁 (0) | 2022.11.11 |
트와이스 모모가 알려준 '2주' 만에 통통한 '뱃살' 쫙 빼는 비법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