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참 다양한 부류의 '진상 손님'이 있다.
그렇다 보니 서비스업계에서는 진상 손님을 맞는 나름의 대응법(?)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손님이 먼저 반말하면 자신도 반말로 되받아치는 게 그 예다.
그런데 만약 반말한 상대가 할머니, 할아버지 등 한참 연장자면 어떨까. '욱'하다가도 "이게 맞나?"하고 '멈칫'할 것이다.
한 여성이 알바하는 중 할머니 손님과 생긴 일화를 얘기했는데 이에 관해 누리꾼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지난 1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반말하는 손님들 맥이는 작고 사소한 나만의 방법"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람을 주로 대하는 일'로 정의했다.
그는 "요새 반말하는 손님이 부쩍 늘은 거 같아 진짜 열 받는다"며 "반말하는 인간들 보면 대부분 50대 이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에는 어떤 할머니가 반말을 찍찍하더라. 그래서 나도 반말하니깐 벙찐 표정 짓고 아무 말 못하더라ㅋㅋ"라고 덧붙였다.
A씨에 따르면, 할머니 손님은 A씨에게 "아가, 이거 얼마고? 후딱 계산해봐라"고 말했다.
이에 A씨는 할머니 손님에게 "3만 원, 일시불로 해줄까?"라고 했다.
A씨가 갑자기 반말해서였을까. A씨는 할머니 손님이 자신이 한 말을 듣고 주춤거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표정 대박이더라 ㅋㅋ"라며 "손녀뻘한테 반말 들었을 때 기분이 어땠을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기가 잘못했으니깐 항의하고 싶어도 따로 항의도 못 함. 그러니까 왜 반말을 해"라고 덧붙였다.
A씨는 해당 일화를 친구에게 알렸고, 친구는 A씨에게 "20대나 30대도 아니고 그래도 할머니인데"라며 "그건 좀 아니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A씨는 "무슨 차이인지 도저히 모르겠다"며 "젊은 사람한테는 해도 되고, 늙은 사람한테는 하면 안 되냐?"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짜 객관적으로 판단해 달라. 난 머리가 안 좋으니 논리적으로 누군가 설명해줬으면 좋겠다"고 조언을 구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A씨가 한 행동이 선을 넘었다고 판단한 누리꾼은 "당신 부모님이 어디 가서 그런 대우를 받았다고 생각해보시라", "반말한 손님이 잘못한 건 맞는데 선이라는 게 있지"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반면 A씨가 한 행동이 적절했다고 판단한 누리꾼은 "늙은 사람들이 더한다. 잘했네", "친구한테 거꾸로 물어봐라, 그럼 반말은 몇 살까지 해도 되냐고. 말도 안 되는 소리 하고 있네"라고 반응했다.
어느 한 누리꾼은 "글쓴이가 무슨 마음으로 반말한 지는 잘 알겠다"라며 "한 번 거꾸로 생각해봐라. 글쓴이가 할머니가 됐을 때 내 손녀뻘, 손자뻘이 그렇게 대한다면 어떤 기분일까 말이다"고 조언했다.
한편 MZ세대 알바생이 가장 싫어하는 진상 손님 유형으로 '반말 손님'이 꼽혔다.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은 MZ세대 알바생 1652명 중 56.7%가 '반말 손님'을 가장 싫어한다는 답을 했다고 밝혔다.
반말한 예시로는 "야 알바", "이거 줘" 등이었다.
이어 "왜 여기만 안 되냐?"라며 매뉴얼을 무시하는 '막무가내형'이 48.3%로 그 뒤를 이었다.
또 정확한 요구사항을 말하지 않는 '스무고개형'도 알바생들은 '갑질'이라고 생각했다.
'이슈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이 쓴 데이트비용 돌려달라고 전 여친에게 청구서 보낸 엄마...그 금액이 충격적이다 (0) | 2022.11.15 |
---|---|
200만원짜리 자전거 훔쳐간 도둑, '3가지 방법'으로 이틀 만에 찾았습니다 (feat. 은팔찌) (0) | 2022.11.15 |
"연예인들 '해외여행 예능'...놀면서 너무 쉽게 돈 버는 거 아닌가요?" (1) | 2022.11.15 |
오늘(15일) 드디어 세계 인구 80억 돌파했다...중국 인구가 14억 (0) | 2022.11.15 |
"쏘렌토 대신 팰리세이드 구매했더니 친구한테 '허세 부린다' 소리 들었습니다" (0) | 2022.11.14 |
댓글